본문 바로가기

카테고리 없음

냉주상위(冷酒傷胃), 독주상간(毒酒傷肝), 무주상심(無酒傷心)

인문 운동가의 사진 하나, 이야기 하나

연말이라 술자리가 늘어난다. 오늘은 유익한 건배사와 술 마시는 법을 이야기 한다.

건배사 하나: '냉주상위(冷酒傷胃), 독주상간(毒酒傷肝), 무주상심(無酒傷心)' - 찬 술은 위를 상하게 하고, 독한 술은 간을 상하게 한다. 그러나 술이 없으면 마음을 상하게 한다.

"무주상심!" 누가 만들었는지, 마음에 와 닿는다. 옛 사람들의 건배사로 이런 것들이 있단다.

"불취무귀" 대 "적중이지"

'불취무귀(不醉無歸)'는 정조의 건배사로 알려져 있다. "취하지 않으면 돌아갈 수 없다"는 뜻이다.
성균관 시험에 합격한 유생들과 함께한 주연(酒宴)에서 "각자 양껏 마시라"며 이렇게 말했단다.
<시경(詩經)>에 따왔다고 한다. "흐뭇한 술자리가 밤에 벌어졌으니, 취하지 않고는 돌아가지 못하리라(厭厭夜飮, 不醉無歸)."

반면, 태종 임금이 셋째 아들 충녕대군(세종)을 후계자로 택한 이유 중 하나는 "술을 마실 줄 안다"는 것이었다. "중국 사신을 맞을 때 주인으로서 한 잔도 마시지 못하면 어떻게 손님에게 권해 즐거운 자리를 만들 수 있겠는가"라는 것이었다. 양녕대군은 지나치게 마시고, 효령대군은 한 모금도 마시지 않았단다. 세종 임금은 적절히 마시고 중간에 그칠 줄 알았단다. 실록에 '적중이지(適中而止)'라고 적혀 있다.

공자도 술 좀 했던 모양이다. 이런 이야기가 전해진다.

그의 제자 자공은 술 취해 흥청대는 일을 못마땅하게 여겼던 모양이다. 연말에 열리는 축제에서 사람들이 즐기며 술에 취해 있었다. 공자가 "너도 즐거우냐"고 묻자 자공은 이렇게 대답하였다. "온 나라 사람이 다 미친 것 같습니다. 저는 그런 즐거움은 알지 못합니다." 술을 좋아해 '주량이 끝이 없었다(有酒無量)'는 공자는 제자에게 이렇게 말한다. "백날을 수고하고 하루 즐기는 것이다. 긴장만 하고 풀어지지 않는 것은 (성군으로 유명한) 문왕과 무왕도 할 수 없었고, 풀어지기만 하고 긴장하지 않는 것은 문왕과 무왕이 하지 않았다." 공자처럼 술 마실 때는 술 마실려고 태어난 사람처럼 마시고, 일 할 때는 일 할려고 태어난 사람처럼 긴장하며 일하는 사람이 내성외왕이다. 내성외왕이란 유학에서 말하는 성공한 사람으로, 안으로 성인이고 외부로는 왕(리더)인 사람이다.

난 개인적으로 <조선일보>를 싫어하는데, <조선닷컴>에서 정보 검색하다 알게 된 내용이다.